본문 바로가기
wonderland/BugTrap

[깃허브] 깃허브 오픈소스 컨튜리뷰터 어떻게 해요?

by Editor_Jin 2024. 7. 7.
반응형

AI Agent 공부를 하던 중 오픈소스 코드를 스터디할 일이 있었다. 

가장 간단한 버전으로 코드를 디버깅하는 중 조금 돌리고 에러가 나고, 

수정했더니 이어서 또 에러가 났다.

가장 간단한 버전이라 유지관리가 잘 안된 듯해보였다. 

 

다행히 내가 해결할 수 있는 에러들이었고 

해결한김에 해당 오픈소스에 컨튜리뷰트를 해보려고한다.

 

대상 오픈소스 레포지토리는 Agent4Rec이다.

 

GitHub - LehengTHU/Agent4Rec: [SIGIR 2024 perspective] The implementation of paper "On Generative Agents in Recommendation"

[SIGIR 2024 perspective] The implementation of paper "On Generative Agents in Recommendation" - LehengTHU/Agent4Rec

github.com

 

 

프로젝트 fork

오픈소스 Repo에서 fork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 fork가 된다.

fork를 해야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모든 사람이 직접 원본 저장소에 쓰기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.

풀 리퀘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포크한 저장소에서 작업을 해야한다.

 

 

Branch 생성 및 Bug FIX

먼저, branch를 생성해줍니다.

오류를 수정하고 커밋.

 

PullRequest

아래와 같이 변경 이유, 무엇을 변경했는지, 테스트 정보를 

풀리퀘스트 메시지에 적고 요청합니다.

 

반응형

'wonderland > BugTra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ncdu - 디스크 사용률, 사용량 확인  (0) 2024.06.19

댓글